경조사비는 축의금·부의금을 통틀어 부르는 말로, 금액과 전달 방식에 예의가 중요
호칭, 관계, 장소, 지역 관습 따라 다르므로 기준을 알고 준비해야 실례를 피함
남편 직장 동료 아버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부의금을 얼마나 해야 할지 몰라서 고민한 적이 있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지역마다, 직급마다 다르게 준비하는 게 있더라고요. 그때 정확히 기준을 알았더라면 덜 고민했을 거예요.
목차
✅ 경조사비란? 개념과 종류
////
경조사비는 결혼(경사)·장례(조사) 등의 일에 금전적으로 전달하는 예우 비용을 말해요.
대부분 축의금(결혼 등) / 부의금(장례 등)으로 구분하며, 전통적으로는 직접 방문해서 봉투에 담아 전달하는 것이 예의지만 요즘은 계좌이체나 모바일 송금도 많아졌어요.
- 경사: 결혼식, 돌잔치, 출산 등 → 축의금
- 조사: 상가 방문, 장례식 등 → 부의금
회사에서는 별도로 경조사비 규정을 운영하는 곳도 있어요. 이런 경우 개인이 아닌 부서나 기관 명의로 전달되기도 해요.
✅ 경조사비 금액 기준, 이렇게 정하세요
////
경조사비 금액은 관계의 정도, 연령대, 지역 관습에 따라 달라요. 너무 적어도 민망하고, 너무 많아도 부담이 될 수 있어 기준을 참고해보세요.
관계 | 결혼식(축의금) | 장례식(부의금) |
---|---|---|
가족/형제 | 30만~50만 원 이상 | 30만~50만 원 이상 |
친척 | 10만~30만 원 | 10만~30만 원 |
직장 상사 | 5만~10만 원 | 5만~10만 원 |
동료/후배 | 3만~5만 원 | 3만~5만 원 |
지인/이웃 | 3만 원 전후 | 3만 원 전후 |
※ 홀수 금액(3만, 5만, 7만 등)이 축의금으로 길하다고 여겨지고, 부의금은 짝수도 무방하지만 4는 피하는 경우 많아요.
✅ 경조사비 전달 예절과 유의사항
////
마음을 담되, 기본적인 예절은 꼭 지켜야 실례가 없어요.
- 봉투 사용: 흰 봉투(조사), 붉은 봉투(경사) / 시중 전용 봉투도 있음
- 표기 방식: 봉투 앞에 '부의', '축의', '혼주 귀하' 등 기재
- 계좌이체 시: 메시지에 이름+용도 명확히 (예: 홍길동 부의)
- 불참 시에도 전달: 직접 참석 못해도 마음을 전하는 것이 예의
- 상호 간 맞춤: 나중에 받을 가능성 고려해 형평 맞추는 경우 많음
요즘은 모바일 부의금 송금 링크도 흔하니, 부담 갖지 말고 안내된 방법을 따르는 게 좋아요.
✅ 자주 묻는 질문(FAQ)
Q. 부의금은 현금만 가능한가요?
A. 전통적으로는 현금이 일반적이지만, 요즘은 계좌이체도 많이 사용돼요.
조의금·부의금 액수 얼마가 적당할까? 관계별 금액 기준 정리!
Q. 참석하지 않아도 경조사비를 보내야 하나요?
A. 꼭은 아니지만, 관계가 있다면 마음을 표현하는 게 예의로 여겨집니다.
Q. 부의금 봉투에 이름은 꼭 써야 하나요?
A. 유족이 확인할 수 있도록 반드시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Q. 직장에서 모아 전달할 땐 금액 기준이 있나요?
A. 보통 부서 차원에서 10만~30만 원 정도가 많으며, 회사 규정 따라 달라요.
Q. 축의금과 부의금, 동시에 겹치면 얼마가 적당할까요?
A. 상황에 따라 나눠서 전달하거나, 한쪽을 더 중점 두는 식으로 조절 가능합니다.
✅ 사례소개 : 직장 부의금, 얼마가 적당했을까?
남편 회사 부장님 아버님이 돌아가셔서 상가에 조문을 가게 됐어요. 저는 5만 원 봉투를 준비했는데, 남편은 부서에서 따로 전달된다고 그냥 마음만 표현했더라고요.
////
결국 부서 단체 명의로 20만 원이 전달됐고, 저희는 조용히 조문하고 나왔어요. 관계에 맞게 대응한 거라 후회는 없지만, 혼자 갔으면 금액 기준을 잘 몰라 난감했을 것 같아요.
✅ 핵심요약
경조사비는 관계, 예의, 지역 관습에 따라 정하는 것이 좋아요. 축의금은 홀수, 부의금은 짝수도 무방하며, 직접 전달이 어려우면 계좌이체도 가능해요. 봉투 작성, 금액 기준, 전달 방법까지 미리 알아두면 실례 없이 표현할 수 있어요.
#경조사비 #부의금 #축의금금액 #조문예절 #경조사예의 #경조사금액기준 #경조사매너
관계별 경조사비 기준과 봉투 작성법, 전달 방법을 정리한 인포그래픽이 있으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