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근조의 정확한 뜻, 아직도 모르셨나요?

“장례식장 조화에 붙은 ‘근조’… 그게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사실 많은 사람들이 장례식장에 가서 검정 리본에 쓰인 **‘근조(謹弔)’**라는 두 글자를 본 적은 있어요.
하지만 정확한 뜻은? 언제 쓰는지? 어디까지 써도 되는지? 잘 모른 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부고 문자에 써도 되는지, 리본 문구로만 사용하는 건지, 심지어 ‘근조’가 실례가 되는 표현 아닌지 걱정하는 분도 많아요.

이번 글에서는 ‘근조’의 정확한 뜻부터, 상황별로 어떻게 쓰는 게 적절한지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근조의 정확한 뜻

1. ‘근조(謹弔)’의 정확한 뜻은?

////

‘근조’는 한자로 謹(삼갈 근) + 弔(조상할 조) 즉, “조심스럽게 슬픔을 표한다”, 또는 **“깊이 애도합니다”**라는 뜻입니다.

  • : 삼가다, 조심스럽게
  • : 조문하다, 위로하다

따라서 근조는 상대의 슬픔에 대해 예를 갖춰 조심스럽게 조의를 표하는 격식 있는 단어입니다.

 

2. 근조는 언제, 어디에 쓰는 걸까?

보통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근조’라는 표현이 사용됩니다.

  • 조화 리본 문구:
     → "근조 ○○○ 드림", "근조 대표이사 ○○○"
  • 부고 알림 문자:
     → "근조: ○○○님의 부음을 알려드립니다"
  • 장례식장 팻말/현수막
     → 상가 입구에 “근조 ○○회사 임직원 일동”
  • 장례용 화환, 국화 바구니, 명패 등

즉, ‘근조’는 슬픔을 상징적으로 표시하는 공식적인 표현이며, 격식을 갖추고자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3. ‘근조’ 표현, 정말 써도 되는 걸까?

////

네, 써도 됩니다. 그리고 오히려 적절한 표현입니다.

다만 중요한 건 표현 방식과 맥락입니다.

  • 부고 문자에서는
     "근조"를 문장 앞머리에 쓰면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 대신 "삼가 알려드립니다" 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문장으로 부드럽게 처리 가능
  • 조화 리본/팻말에서는
     **"근조 ○○○ 드림"**이 공식 문구로 통용됨 (문제 없음)

즉, 격식 있는 자리에서는 ‘근조’가 매우 적절한 표현이며, 대중적인 안내나 문자에서는 다소 부드러운 표현으로 대체되기도 한다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4. ‘근조’ 외에 쓸 수 있는 표현은?

표현사용 예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문자, 조화 리본, 사회적 메시지 전반
삼가 애도의 뜻을 전합니다 부고 전달용, 간단한 메시지, 공지용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직장/회사/단체 등에서 격식 있게 사용할 때
부디 평안히 잠드소서 개인적, 종교적 느낌이 있는 위로 문장
마음으로 함께 애도드립니다 감정적, 친밀한 사이에서 적합
 

→ 상황에 따라 ‘근조’ 대신 위 문장들로 부드럽게 표현해도 무방합니다.

 

5. 조화 리본 문구, 이렇게 쓰세요

////

1) 일반 개인 명의 조화:
→ "근조 홍길동 드림"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김영희"

2) 회사·단체 명의 조화:
→ "근조 ○○회사 대표이사 ○○○"
→ "근조 ○○고등학교 동창 일동"

3) 가족 명의 조화:
→ "근조 사위 홍길동 외 가족 일동"
→ "근조 삼남매 일동"

※ "謹弔"는 한자로 써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는 한글 표기 많이 사용

 

6. 주의할 표현: 이건 피하세요

  • "고인은 좋은 데 가셨을 거예요" → 종교/가치관 따라 실례될 수 있음
  • "이젠 편해지셨겠네요" → 유족에 따라 불쾌할 수 있음
  • "왜 돌아가셨어요?" → 가장 실례되는 질문

‘근조’는 말 한마디보다 조용한 예의의 시작입니다.

 

7. 마무리 ‘근조’는 슬픔을 향한 가장 단정한 말입니다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되지 않는 순간,
‘근조’는 의미와 예의를 동시에 담은 단어입니다.

글로, 리본으로, 팻말로 표현될 때
그 단어 하나로 **"나는 당신의 슬픔에 조심스럽게 함께합니다"**라는 뜻이 전해지죠.

그래서 ‘근조’는 단순한 한 단어가 아니라,
그 자리에 함께한다는 예의의 표현
입니다.

 

 

혹시 지금 부고 문자나 조화 문구를 준비 중인가요?
상황에 맞는 문장이나 리본 문구가 필요하다면 “부장님 아버님 부고”, “친구 외할머니 조화” 등 상황만 알려줘요.
→ 바로 예의에 맞는 문구, 도와드릴게요.

오늘 추천글 베스트

블로그 내에서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