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골을 자연에 뿌리는 산골은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허용되지만, 반드시 정해진 조건과 장소를 따라야 합니다.
무단 산골은 불법이며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바다·수목장림·허가된 사설 장소 등으로 제한됩니다.
화장 후 유골을 어디에 모실지 고민하는 분들 중
봉안당보다 자연으로 보내드리고 싶다
는 이유로 ‘유골을 뿌리는 장례’, 즉 **산골(散骨)**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하지만 막연히 바다에 뿌리거나 산에 묻는 것은 대부분 불법에 해당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유골을 뿌릴 수 있는 합법 장소, 절차, 주의사항까지 정확히 안내**할게요.
✅ 유골 뿌릴릴수 있는 곳? 아무 데나 뿌리면 안 돼요! 허용 장소는 정해져 있어요
////
1. 바다(해양산골)
- 법적으로 허용된 유일한 자연장 방식 중 하나
- 연안으로부터 5해리(약 9.26km) 이상 떨어진 해역에서 가능
- 유골은 반드시 지름 2mm 이하로 분쇄해야 하며, 바이오백 또는 수용성함에 담아 투하하는 형식
2. 허가된 수목장림
- 산림청에서 지정한 ‘자연장지’ 내에만 가능
- 일반 산이나 개인소유 산은 허가 없이 산골하면 불법
- 등록된 수목장림 현황: LH공사(lh.or.kr), 행안부 자연장 안내 참고
3. 사설 산골 전문 장소
- 일부 사설 장례기업은 자체적으로 산골 허가를 받은 공간 운영
- 정해진 구역 내 유골 산포 + 제례식 + 기록 보존 서비스 제공
※ 가족의 동의 없이 산골하거나, 무단으로 산·하천·공원 등에 뿌릴 경우 장사법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어요.
✅ 유골 뿌리는 방법! 알아야 할 절차와 조건
////
1. 유골 분쇄는 의무
- 산골 전에 지름 2mm 이하로 반드시 분쇄해야 함
- 분쇄하지 않고 유골함째 투하하면 불법
2. 신고는 필요하지 않지만 기록은 남겨야
- 사전 신고는 의무 아님
- 단, 산골을 진행한 날짜, 장소, 방법 등은 가족이 기록 보존하는 것이 권장돼요
3. 종교식이나 제례식은 간단히
- 공공장소에서는 고성 제사, 향불 피우기 금지
- 묵념, 편지 낭독 등 간단한 추모 형식으로 진행
✅ 자주 묻는 질문 5가지
Q. 산에 유골을 뿌리면 안 되나요?
A. 대부분 불법입니다. 허가되지 않은 일반 산림이나 사유지에 유골을 뿌리면 ‘무단 매장’으로 간주돼 과태료(100만 원 이하)가 부과될 수 있어요.
유골함 가격 차이가 큰 이유? 종류별 평균 비용과 구매 팁까지 정리
Q. 바다에 유골을 뿌리는 건 괜찮나요?
A. 네. 해양산골은 허용되며,
해양수산부 지침에 따라 일정 거리 떨어진 해역, 분쇄 유골, 생분해함 사용
등 조건을 지켜야 해요. 전문 업체를 통한 해양장 서비스 이용이 안전해요.
////
Q. 유골을 뿌릴 때 반드시 신고해야 하나요?
A. 현재는 신고 의무는 없지만 기록 보존은 권장돼요. 단, 지자체에 따라 ‘사망자 처리 현황’ 신고와 연계될 수 있어 문의해보는 것이 좋아요.
Q. 수목장림은 아무 산에 해도 되는 건가요?
A. 안 돼요. 산림청 등록된 자연장림에서만 가능하며, 지자체나 LH공사가 관리하는 수목장림을 이용해야 합법이에요.
Q. 유골을 몰래 뿌린 경우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나요?
A. 네. 제보 또는 발견 시 장사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어요. 또한 자연보호구역, 국립공원 등은 형사처벌 대상이므로 반드시 허용 장소에서 진행해야 해요.
✅ 실제사례: “어머니를 바다에 보내드렸어요”
김씨 가족은 어머니 유언에 따라 해양산골을 선택했어요.
전문 장례업체를 통해 유골을 2mm 이하로 분쇄하고, 바이오백에 담아 제주 남부 해역으로 배를 타고 나가 산포
했어요.
김씨는 “땅에 묻는 것보다 자연으로 보내드렸다는 점에서 마음이 한결 가볍고, 가족들도 물 위에 흩날리는 순간을 잊지 못한다”고 말했어요.
마무리
유골을 뿌리는 ‘산골’은 자연에 보내드리는 따뜻한 방법이지만, 허용된 장소와 절차를 반드시 지켜야 해요.
정해진 구역(바다, 등록 수목장림, 허가 사설 장소) 내에서 유골을 분쇄한 후, 간단한 추모와 함께 정성껏 진행하면 가족 모두에게도 큰 위로가 될 수 있어요.
인포그래픽 제안 : ‘유골 산골 가능 장소 가이드’ – 바다 vs 산 vs 사설 장소 비교표 + 유골 분쇄·장소·절차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