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가족간 계좌이체 한도 얼마까지 가능해요? 한도와 주의사항

가족 간 계좌이체는 금액 제한은 없지만 일정 금액 초과 시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

1인당 증여세 면제한도는 직계존비속 기준 10년간 5천만 원(미성년 자녀는 2천만 원).

 

가족끼리 돈을 주고받는 일은 흔하지만, 계좌이체를 통한 송금도 세법상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생활비인지, 자산 이전인지에 따라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기준과 면세 한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간 계좌이체 은행 창구

지금부터 가족 간 계좌이체 시 한도와 주의사항을 꼼꼼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가족 간 계좌이체, 얼마까지 가능할까?

////

계좌이체 자체는 금액 제한이 없지만,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는 기준이 존재합니다.

세법상 가족 간 이체는 일정 조건을 초과하면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직계 가족 간 증여세 면제 한도 (10년 기준)
관계 증여세 면제 한도
부모 → 자녀(성인) 5,000만 원
부모 → 자녀(미성년자) 2,000만 원
자녀 → 부모 1,000만 원
배우자 간 6억 원
기타 가족 (형제, 사촌 등) 1,000만 원

 

※ 위 한도는 ‘10년 합산 기준’으로, 초과 시 그 초과분에 대해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가족간 계좌이체 한도. 세금 괜찮을

✅ 단순 송금도 증여로 보나요?

////

세무당국은 단순한 생활비, 등록금, 병원비 등은 통상 증여로 보지 않지만, 정기적·고액 송금, 일정 목적 없이 반복된 이체, 상대방의 자산 증가가 명확한 경우에는 증여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매월 일정 금액을 송금하거나
  • 계좌이체 후 차량·주택 구입 등 자산이 증가하거나
  • 수증자가 소득이 없는데 큰돈을 수령한 경우

이 경우 국세청이 자금 출처를 요구할 수 있으며, 설명이 불가하면 증여세 부과 대상이 됩니다.

 

✅ 주의해야 할 계좌이체 사례

////

가족 간의 계좌이체는 자주 일어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는 국세청이 ‘사실상 증여’로 판단하여 세무조사 또는 증여세 부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성인 자녀에게 1년간 6,000만 원 이체
부모가 생활비·결혼자금 등의 명목으로 성인 자녀에게 1년 동안 6,000만 원을 송금한 경우, 10년간 5,000만 원까지는 면제되지만 초과된 1,000만 원은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단발성이라도 금액이 크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 부모 명의 계좌에서 자녀에게 부동산 구입자금 이체
자녀가 부동산을 매수하면서 부모가 매매대금 전액 또는 일부를 대신 이체한 경우, 해당 금액은 사실상 자녀에 대한 증여로 간주되며, 자금출처조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취득세 신고 시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대상이면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3. 형제 간 2,000만 원 송금
형제·자매, 사촌 등 직계존비속이 아닌 가족 간 이체증여세 면제한도가 10년간 1,000만 원입니다. 즉, 2,000만 원 송금 시 초과분 1,000만 원은 반드시 신고 대상이 되며, 미신고 시 가산세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 포인트: 가족 간 금전 거래는 금액뿐 아니라 용도·반환 여부·정기성 여부가 핵심입니다. 반복적이거나 목적이 불명확할 경우 과세 위험이 높아집니다.

주의해야 할 계좌이체 사례

✅ 실제사례

직장인 이 모 씨는 부모님에게 매월 200만 원씩 생활비를 보냈고, 5년간 총 1억 2천만 원에 달했습니다. 어느 날 세무조사에서 ‘자산 증가 없이 지속적 수취’로 간주되어 2천만 원 초과분에 증여세 부과 통지를 받았습니다.

////

이 씨는 “가족이니까 괜찮을 줄 알았다”며 억울해했지만, 법적 기준은 금액과 목적을 구분 없이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5가지

Q. 가족 간 송금은 금액 제한이 없나요?
A. 이체 자체엔 제한이 없지만 10년 기준 면제 한도를 초과하면 증여세 신고 의무가 생깁니다.

형제간 현금 증여 한도, 어디까지 세금 없이 줄 수 있을까?

 

현금 증여 방법 가족 간에도 주의해야 할 점은?

 

Q. 자녀가 부모에게 송금해도 증여세가 발생하나요?
A. 네, 자녀 → 부모도 증여로 간주되며, 10년간 1천만 원까지 면세입니다.

부모 자식간 현금 증여 한도, 얼마나 가능한가요?

 

Q. 등록금, 병원비는 예외인가요?
A. 보통은 예외지만, 거액이거나 반복 지급 시 소명자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기록을 남겨두세요.

////

 

Q. 현금으로 주면 괜찮은가요?
A. 아닙니다. 계좌이체보다 오히려 추적 어려워 의심받기 쉬우며, 자금 출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A. 증여세는 증여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홈택스(www.hometax.go.kr) 또는 세무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증여세 개정, 달라진 내용 한눈에 정리!

 

✅ 마무리

가족 간 계좌이체는 일상적인 일이지만,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증여세 문제로 번질 수 있습니다. 단순 생활비라 하더라도 목적과 기간, 횟수에 따라 과세 가능성이 있으므로 송금 시 메모를 남기고 증빙자료를 확보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금액이 크거나 일회성이 아닐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을 받아 정확히 준비하세요.

추천키워드 : 가족간 송금 증여세 / 계좌이체 한도 / 증여세 면제 기준

오늘 추천글 베스트

블로그 내에서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입니다.